물음표 살인마

start.spring.io를 사용해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생성하기 본문

카테고리 없음

start.spring.io를 사용해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생성하기

응지권 2023. 6. 3. 14:35

1. https://start.spring.io/ 접속

사용할 옵션을 선택하면 프로젝트가 zip파일로 내려받아진다.

내려받아진 zip파일을 ide에서 열면 프로젝트 생성 끝!

 

- 빌드관리도구: 라이브러리를 관리해준다.

Apache Ant -> Maven -> Gradle로 넘어가는 추세라고 하니 잘 모르면 Gradle을 사용하자.

 

- 스프링부트 버전: 뒤에 SNAPSHOT, M1같은 게 붙은 건 미정식 버전이다.

정식 버전 중 맘에 드는 걸 선택하자.

 

- 프로젝트 메타데이터: 도메인과 프로젝트 이름, 자바 버전 등을 설정한다.

 

- 라이브러리: 사용할 라이브러리를 선택한다.

나는 웹개발이라 Spring Web이랑 템플릿 엔진으로 Thymeleaf를 선택했다.

2. 메인 메서드 실행해보기

 

start.spring.io로 만든 프로젝트를 열면 기본으로 HelloSpringApplication 클래스에 메인 메서드가 작성되어있다.

실행하면 spring boot에 내장된 톰캣 서버가 뜨는 걸 확인할 수 있다!

 

----------

Gradle이 해주는 의존성 관리

1. build.gradle을 확인해보면 내가 선택한 라이브러리들을 확인할 수 있다.

 

2. 프로젝트의 라이브러리를 확인하면 내가 선택하지 않은 것들도 많은데!

3. gradle이 관련된 라이브러리를 다 땡겨와주는 거다.

이 덕분에 spring boot만으로 톰캣 서버, 테스트 라이브러리, 로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타고 내려가다보면 spring-core까지 나온다

Comments